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Creator Economy 미디어 플랫폼과 커머스 플랫폼의 연결: link in bio 서비스의 가치 Link in bio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관련 서비스의 원조격인 링크트리(linktree)의 기업가치가 13억 달러에 이르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영역에서 최근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은 link in bio 서비스를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Creator Economy 유튜브 광고 수입 담보 대출?! 담보 투자?! 유튜브 월 광고수입이 평균 100만 원 수준인 유튜버는 이를 담보로 1억 원 대출을 받았습니다. 전통 은행에는 유튜버 대상 대출 상품이 없습니다. 크리에이티브 쥬스(Creative Juice)는 유튜버에게 광고 담보 대출을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Marketing 미스 엑셀, 틱톡과 릴스로 하루 1억 원 매출: 숏폼 영상 노하우 엑셀과 틱톡, 어울리지 않는 조합입니다. (만) 28세의 캐드 노턴(Kat Norton)은 틱톡에서 엑셀(Excel) 노하우 영상으로 21년 12월 약 69만 명의 팔로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캐드는 틱톡과 인스타그램 릴스의 인기를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Creator Economy 미스터 비스트(MrBeast) 오징어게임과 프랜차이즈: 유튜브 경제학의 변화 미스터 비스트는 오징어게임을 재현한 유튜브 영상 하나를 위해 제작비 350만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21년 11월 24일 영상 공개 이후 10일이 지난 12월 5일 기준 이 영상의 조회수는 약 1억 5천만에 육박하고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MARKETING 틱톡 전쟁 (2): 크리에이터 확보 경쟁, 승자는? 한국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스냅쳇(Snapchat)의 성장세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스냅쳇은 스토리 포멧을 가장 먼저 제공한 서비스입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스냅쳇 스토리를 완벽하게 복사하면서 스냅쳇의 성장세에 찬물을 끼얹었죠. 이번엔 스냅쳇이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Creator Economy 틱톡 전쟁 (틱톡 vs. 유튜브 Shorts vs. 인스타그램 Reels): 크리에이터를 위한 손익 계산서 틱톡에 대한 대항 전선이 완성되었습니다. 인스타그램 Reels, (한국에서는 의미가 없는) 스냅쳇의 Spotlight 그리고 유튜브의 Shorts가 틱톡에게 승부수를 두었습니다. 유튜브 Shorts는 21년 3월 인도와 미국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7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