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과 틱톡, 어울리지 않는 조합입니다. (만) 28세의 캐드 노턴(Kat Norton)은 틱톡에서 엑셀(Excel) 노하우 영상으로 21년 12월 약 69만 명의 팔로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캐드는 틱톡과 인스타그램 릴스의 인기를 바탕으로 Miss Excel이라는 브랜드를 만들었고 이 곳에서 온라인 비디오 강의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21년 11월 하루 매출이 10만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 글은 캐드 노턴의 성공 이야기를 소개하며 캐드의 빛나는 틱톡 노하우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캐드 노턴은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당시 프로티비티(Protiviti)라는 컨설팅 회사에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그녀가 담당한 업무는 은행 고객 대상 인터넷 정보 보안입니다. 캐드 노턴은 프로티비티 직장 동료를 대상으로 엑셀 강의를 이미 4년 넘게 진행할 정도로 엑셀을 다루는 능력이 탁월합니다. 코로나 팬데믹 시작과 함께 캐드 노턴은 홈 오피스 근무를 시작합니다. 고객사 미팅을 위해 매주 미국 전역으로 출장가는 일이 멈추게 됩니다. 캐드 노턴은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엑셀 노하우를 소재로하는 틱톡 영상을 만들어 이를 2020년 6월부터 틱톡에 공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때 캐드의 나이는 (만) 27세였습니다. The Verge와의 인터뷰에서 캐드는 당시 틱톡 앱을 처음으로 스마트폰에 설치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캐드는 그린 스크린과 링라이트를 구매하여 엄마 집에 설치하고 이곳에서 생애 첫 틱톡 영상 제작을 시작합니다.

How an Excel TikToker manifested her way to making six figures a day
Kat Norton built an Excel training business after going viral.

틱톡 영상: 단순하고 거친 편집에 담겨 있는 뛰어난 감각과 감성

캐드 노턴의 틱톡 계정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지난 1년 동안 제작된 영상 포맷은 대부분 동일합니다-캐드 노턴의 틱톡 노하우는 후술하겠습니다-. 세로 영상 상단에는 항상 엑셀 테이블이 등장합니다. 캡션으로 엑셀 팁이 설명됩니다. 대다수가 단축키를 활용한 노하우입니다. 세로 영상 하단에는 춤을 추며 (항상) 웃고 있는 캐드 노턴이 등장합니다. 이렇게 영상 포맷은 어찌보면 매우 단순하고 영상 편집은 매우 거칠지만 정말 뛰어난 감각이 영상에 담겨 있습니다. 뛰어난 감각은 후술하겠습니다.

틱톡을 시작한지 6일만에 캐드 노턴은 G-Suite 다시말해 구글 Sheet에 대한 틱톡 영상 제작 요청을 받습니다. 첫 번째 수입입니다. 그러나 뷰(view)가 높은 것은 엑셀을 다룬 영상입니다. 틱톡 계정을 시작한지 9일만에 10만 뷰가 넘는 영상이 나옵니다. 그 이후 또 2주가 흐른 뒤 캐드 노턴의 영상은 처음으로 For You Page(추천)에 소개됩니다. 그 이후 빠른 속도로 캐드 노턴의 틱톡 계정은 성장합니다.

캐드 노턴은 2020년 9월부터 인스타그램 릴스(Reels)도 시작합니다. 당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을 미국 기업에 매각 또는 틱톡 금지를 요구했기 때문입니다. 캐드 노턴은 틱톡을 위해 만들어진 영상을 릴스에도 업로드합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인스타그램에 맞춰 별도 제작된 썸네일입니다. 릴스에도 캐드 노턴의 영상은 순항하기 시작합니다. 4주가 지나면서 바이럴 효과가 발생하기 시작했고 현재 평균 뷰 수는 69만 명의 팔로워가 있는 틱톡 계정보다 팔로워가 56만 명인 릴스 계정에서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

2020년 블랙 프라이데이부터 Creative Shop 운영 시작

캐드 노턴은 2020년 10월부터 첫 번째 유료 온라인 강의 시리즈를 제작하고 Miss Excel에서 이를 판매하기 시작한 때는 20년 11월 말 블랙 프라이데이입니다. 이로부터 두 달이 흐른 후부터 캐드 노턴의 온라인 강의 판매 수입은 컨설팅 회사 프로티비티(Protiviti)수입을 넘어서기 시작합니다. 두 번째 시리즈는 21년 4월에 제작되었고 21년 12월 기준 Miss Excel에는 총 12개의 강의 시리즈 또는 번들링 상품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21년 10월부터 캐드 노턴은 Creatvie Shop의 온라인 강의에 대한 퍼포먼스 마케팅을 시작했고, 21년 11월부터 하루 매출이 10만달러를 넘어서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성공을 가능하게한 캐드 노턴의 숏폼 영상에 담긴 노하우를 소개하겠습니다.

숏폼 영상 성공 요소: 보스(Boss) 내러티브와 오디오 밈(meme)

틱톡 계정은 개인 계정과 비즈니스 계정으로 구별됩니다. 개인 계정의 가장 큰 장점은 음악 저작권 걱정없이 - 기업 틱톡이 저작료를 지불합니다- 틱톡에서 제공하는 모든 음악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다고 아무 음악을 고르면 안됩니다. 현재 틱톡에서 인기있는 음악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때 영상의 바이럴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틱톡 추천 알고리즘은 특정 이용자가 복수의 다른 영상에서 즐겨듣는 음악이 있다면 이 음악을 담은 다른 영상을 추천합니다. 틱톡 음악 트랜드-이를 오디오 밈이라 부릅니다-에 맞춰 영상 음악을 선택한다면 이용자가 이 영상을 건너뛰기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줄어듭니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캐드 노턴은 음악의 가사(lyric)에 맞춰 엑셜 기능을 설명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래 영상이 대표 예입니다. 음악은 테이 머니(Tay Money)의 "The Assignment"입니다. 캐드 노턴은 보스(Boss)의 짜증나는 업무지시(Assignment)를 순식간에 해결하는 노하우를 틱톡 영상에 담았습니다. 영상을 보시겠습니다.

@miss.excel

Get ready to impress the whole team with this one 🔥 ##theassignment ##selfimprovement ##todayilearned ##excel ##learnhow

♬ The Assignment - Tay Money

이 음악에서 캐드 노턴이 선택한 가사는 "난 (당신의 짜증나는) 업무지시를 이해했지(I understood the assignment)"입니다. 이 영상에는 캐드 노턴 영상의 기본 내러티브가 완벽하게 구현되고 있습니다. 보스의 업무지시를 받자 당황스러운 직원, 그가 캐드 노턴의 노하우에 따라 쉽게 이를 처리하자 그의 기분이 좋아집니다. 캐드 노턴은 자신의 숏폼 영상을 본 사람이 웃음 짓기를 원합니다. 영상의 대다수는 (1) 해결해야할 과제 또는 과제를 던지는 보스(Boss), (2) 엑셀 노하우, (3) 웃음 짓는 직원이라는 내러티브를 따르고 있습니다.

인기 음악의 가사를 활용한 또 다른 영상을 보십시요. 틱톡 뿐 아니라 유튜브 등에서 폭발적 인기를 끌었던 시에라(Ciara)의 Level Up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내러티브는 엑셀 능력의 레벨 업을 가능하게 하는 노하우를 소개하고 그 결과 기분이 좋은 직원이 등장하는 구조입니다.

@miss.excel

Level Up with Left & Find ⬆️ ##edutok ##excel ##business ##skillbuilding ##summer2020 ##howto

♬ Level Up - Ciara

캐드 노턴의 춤 실력이 뛰어나다고 평가하긴 어렵습니다. 화려한 무대도 없고 편집도 뛰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캐드 노턴의 내러티브에는 보는 이의 얼굴에 웃음을 선물하겠다는 진정성이 있습니다. 이것이 틱톡 영상에서 통하는 진정성(authenticity)입니다.

The Verge의 인터뷰에서 캐드 노턴은 친구를 초대한 생일 파티 경험이 없을 정도로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스타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 캐드 노턴이 틱톡 영상을 위해 춤을 추고 있습니다. Exciting f(x)의 틱톡 계정을 고민하는 저로서는 많은 반성을 하는 대목입니다. 그렇다고 제가 춤을 추겠다는 뜻은 아니니 걱정하지는 말아 주세요ㅎ

틱톡 마케팅 (3): 영상 댓글 마케팅
21년 9월 월 적극사용자 (MAU)가 10억 명에 도달했던 틱톡은, 앱 분석 서비스 App Annie에 다르면 22년 15억 MAU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 거대한 도달거리를 이용하려는 다양한 마케팅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틱톡의 댓글을 활용하는 마케팅 방법을 소개합니다. 틱톡 댓글 활용 마케팅 사례를 소개하기 전에 2021년 틱톡이 크게 성장한 국가를
틱톡 마켓팅 (2): 숏폼 영상과 틱톡 알고리즘
아래 두 영상을 비교하면 롱폼과 숏폼 영상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영상은 Tasty가 제작한 오물렛 레시피 영상입니다. 위의 영상은 스마트폰이 아닌 높은 사양의 카메라로 촬영되었고 데스크탑에서 편집되었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내용 구성에서도 신선한 달걀 구별법, 중불 유지 방법 등까지 친절하고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영상은
틱톡 마켓팅 (1): 뷰티 커뮤니티
크리니크(Clinique) 대표 미쉘 프레이어(Michelle Freyre)은 다음과 같이 틱톡 마케팅의 핵심을 이야기합니다(출처: Business Insider). ”틱톡은 브랜드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티에 의해 작동하는 플랫폼입니다(TikTok is a platform that is driven by the community, less the brands themselves).”이 문장의 의미를 사례를 통해 알아 보겠습니다. ”커뮤니티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