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7일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메타-구 페이스북-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그리고 이후 제공될 메타버스 서비스 내부에서 유통되고 이용되는 복수의 가상화폐 및 암호화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메타가 도입하려는 가상화폐의 임시 이름은 주크 벅스(Zuck Bucks)입니다. 주크 벅스의 중요한 특징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가 아닌 메타 생태계 내부 지불 시스템이라는 점입니다. 메타는 주크 벅스를 포함하여 크게 3가지 실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수 언론이 주크 벅스를 보도하고 있습니다만 주크 벅스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메타가 페이스북 그룹에서 NFT를 그룹 입장권으로 이용하려는 점입니다. 메타의 이번 NFT 실험이 성공한다면 네이버 카페 등 한국 커뮤니티에도 NFT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 뿐 아니라 한국의 빅테크 기업-네이버, 카카오 등-은 다양한 커뮤니티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 글은 BAYC(Bored Ape Yacht Club)의 성공 사례 분석을 통해 NFT의 진화 방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제가 가지고 있는 NFT에 대한 테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NFT의 성공 요인의 핵심은 네트워크 효과이며 NFT는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하는 API-기준/표준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Libra → Diem → Zuck Bucks + NFT
2018년 페이스북은 페이팔, 마스터카드, 비자(VISA), 이베이 등 다양한 기업과 함께 대규모 컨소시엄을 구성해 리브라(Libra)라는 이름의 암호화폐 개발을 시작합니다. 2020년 그 이름은 디엠(Diem)으로 변경됩니다. 그러나 디엠 프로젝트는 2019년부터 미국 정부와 유럽 연합의 강력한 반대를 직면했고 디엠 프로젝트는 싹도 피워보지 못하고 지난 2022년 1월 공식 중단됩니다. 그 이후 메타는 다소 소극적인 자세로 암호화폐뿐 아니라 전통 디지털 화폐 그리고 NFT 등에 대한 다양한 금융 실험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메타가 진행하고 있는 3개의 금융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크 벅스는 암호화폐가 아니며 메타 생태계-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에서만 이용될 수 있고 기업 메타에 의해 통제되는 지불수단으로서의 디지털 화폐입니다. 싸이월드의 도토리 및 로블록스의 로벅스(Robux)와 비교 가능합니다. 또는 여느 게임에서 아이템을 사고 파는데 이용되는 게임 코임과 유사합니다.
- 메타는 주크 벅스와는 별도로 암호화폐에 기반한 NFT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도입하고자 합니다 특히 페이스북 그룹 가입 조건으로 NFT를 활용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주크 벅스보다 더 흥미롭고 앞으로 NFT의 진화 방향을 예측하는데 있어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메타는 작은 기업에 신용 대출을 할 수 있는 전통적인 지불수단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The Verge의 아래 기사는 메타가 계획하고 있는 위 3가지 프로젝트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크 벅스(Zuck Bucks)는 메타의 CEO 저커버그(Zuckerberg)의 이름을 따고 있습니다. 주크 벅스가 암호화폐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메타는 큰 성공을 거두고 있는 로블록스의 게임 내 화폐 로벅스(Robux)를 적극적으로 모방하고자 합니다.
그렇다고 메타가 암호화폐와 완전하게 거리를 두려는 것은 아닙니다. 메타는 특히 페이스북에서 NFT를 적극 도입하려 합니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메타는 5월 중순 NFT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하려 합니다.
페이스북 그룹에 NFT를 도입하여 그룹에 대한 소유권을 그룹 회원이 분할 소유할 수 있게 하려 합니다.
메타는 인스타그램에도 NFT를 도입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NFT를 활용할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점은 주크 벅스보다는 NFT 소유에 기반한 페이스북 그룹 운영입니다. 아래 글에서 저는 NFT를 카카오 모임통장에 비유했습니다. Smart Contract를 이용하면 모임의 계약과 규칙을 사전에 확정할 수 있습니다. 모임 구성원 수는 2명, 10명, 20명, 100명 등 모임통장을 개설할 때 임의로 정할 수 있습니다. 모임통장에 새로운 구성원이 되고 싶다면 기존 구성원의 소유권을 구매해야 합니다. 여기서 '모임'을 '페이스북 그룹'으로 바꾸어 보십시요. 툭종 페이스북 그룹 NFT를 소유한 개인이 얻을 수 있는 배타적(exclusive) 가치에 따라 페이스북 그룹 입장권으로서의 NFT의 가격은 변동할 수 있습니다. 5월부터 진행되는 파일럿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매우 궁금합니다.

두 개의 NFT 테제와 BAYC 성공 요인 분석
아래 글은 BAYC(Bored Ape Yacht Club)를 운영하는 Yuga Labs가 MetRPG라는 게임 메타버스를 2022년 시작한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MetaRPG는 하나의 게임이 아니라 SDK와 코인 Ape를 기반하여 서로 다른 게임을 연결하는 게임 메타버스 생태계를 추구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호운영성에 기반한 확장성입니다.

다음 세대 인터넷-이를 일부에서는 메타버스라고 부르고 있습니다-에서 확장성을 보장하는 것은 SDK와 코인만이 아닙니다. Smart Contract를 내재하고 있는 NFT도 서로 다른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만약 페이스북 그룹에서 이용되는 NFT가 대중성을 획득한다면-쉬운 과제는 아닙니다!-, 이 NFT는 디스코드(Discord)나 레딧(Reddit)의 특정 서버/그룹 입장권으로 이용될 수도 있습니다. 강정수가 소유하고 있는 NFT가 복수의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하다면 그 NFT의 가치는 증가합니다.
이 배경에서 저의 첫 번째 테제는 앞으로 NFT 경쟁은 특정 NFT가 API 기준으로 수용되는 방향 또는 특정 NFT로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네이버 카페, 네이버 웹툰, 제페토 그리고 복수의 게임 등을 연결하는 NFT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성공한 NFT는 NFT 연결 기준 및 표준 다시말해 NFT API standard로 작동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 테제는 두 번째 테제가 타당할 때만 가능합니다. 두 번째 테제는 NFT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네트워크 효과의 크기입니다.
아래의 BAYC 성공 요인 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의 핵심은 배타적 가치에 기초한 네트워크 효과입니다.
- BAYC의 시발점은 암호화폐로 큰 돈을 벌었고 미국 플로리다주 에버글레이즈(Everglades) 소재 작은 선술집에서 모임을 가진 사람으로 구성된 클럽입니다. 이 지점을 페이스북 그룹 NFT가 모방하려 합니다.
- BAYC를 소유한 사람에게는 다양한 배탁적(exclusive) 권한이 부여됩니다. 예를 들면 BAYC를 소유한 사람만 입장 가능한 파티가 열립니다. 그러나 2021년 4월 10,000개의 BAYC 초기 판매는 실패였습니다. 예를 들어 공식 판매 시작 1주 전에 사전 판매를 시작했는데 이 사전 판매 기간동안 팔린 BAYC는 650개에 불과했습니다.
- 배타적 파티 입장권의 가치는 그 자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이 파티에 참여하는 나외의 다른 사람이 얼마나 매력적인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직접) 네트워크 효과는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나외의 이용자의 규모가 증가할 수록 나의 해당 서비스 이용 가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BAYC 초기 구매자 중 유명인(?)은 NFT 기업가 Jimmy McNeils입니다. Jimmy McNeils는 일반(?) BAYC를 구매한 것이 아니라 35명에게만 판매된 BAYC 특별판을 구매했습니다. Jimmy McNeils는 기후 420개의 일반 BAYC를 구매합니다.
i aped @BoredApeYC - https://t.co/L3sIeseSwU pic.twitter.com/TPzZeoex5V
— j1mmy.eth (@j1mmyeth) May 1, 2021
- Jimmy McNeils의 권유로 다수의 사람들이 대량의 BAYC 구입에 나섭니다. 그 중 한 명은 익명의 트위터 계정을 가지고 있는 Pranksys입니다. Pranksys는 40만 명 가까운 팔로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부터 빠른 속도로 BAYC 구매자가 확대되고 구매자 중 이른바 유명인의 수가 늘어납니다.
I just grabbed 250 @BoredApeYC thanks to @j1mmyeth, 10,000 limit, no horrible fomo pricing strategy, each ape is .08 ETH, + they look great :Dhttps://t.co/AKcGxtyJa8#NFTs
— Pranksy 📦 (@pranksy) May 1, 2021
You can mint them here: https://t.co/8jXxs2eeY1 pic.twitter.com/Y1kAYwlhlZ
- 특히 BAYC 파티에 유명한 사람이 참여하면서 BAYC의 가치는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에미넴(Eminem), 스눕 독(Snoop Dogg), 귀네스 팰트로(Gwyneth Paltrow), 스티브 아오키(Steve Aoki) 등이 파티에 참여(=BAYC 소유)했기 때문입니다. BAYC를 소유한 사람 중 유명한 사람이 많으면 많을 수록 BAYC의 가격은 상승합니다.
- BAYC가 확산되는데 기여한 것은 트위터, 디스코드 등 소셜 미디어 및 커뮤니티입니다. 구매의 소셜 미디어 계정이 도달 거리가 클 수록 다시말해 계정의 네트워크 효과가 클 수록 특정 NFT에 대한 인지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BAYC 소지자가 자신의 트위터 계정 프로필 이미지(PFP: Profile Picture)을 BAYC 이미지로 바꾸면서 BAYC는 트위터 생태계에서 이른바 Social Status의 상징으로 작동합니다.
- 영화, 스포츠 등 전통적인 유명인뿐 아니라 소셜 미디어 스타 다시말해 인플루언서 또는 크리에이터가 특정 NFT의 가치를 상승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NFT는 전통 소셜 미디어 또는 커뮤니티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층위(Layer)로서 기능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첫 번째 테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두 가지 테제는 NFT 진화 방향의 시작점을 분석할 뿐입니다. 앞으로 NFT에 기반한 수 많은 서비스가 등장할 것입니다. Web3 또는 NFT에 대한 정부 규제는 관련 생태계의 진화 방향에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따라서 NFT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화할지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두 개의 테제를 통해 그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 추가 1: Web3 또는 NFT는 화폐가 경제에서 가진 기능, 다시말해 다양한 사회구성원 또는 사회 부문을 연결하는 인프라스트럭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것은 정부의 규제 본능을 자극하는 부분입니다. 암호화폐 진영은 정부 규제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로는 암호화폐 및 NFT의 대중화는 불가능합니다. 암호화폐/NFT는 화폐 기능을 속성으로 가지고 있기에 정부 규제는 피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framework)를 고민할 때입니다-이는 다음 기회에 다루겠습니다-.
- 추가 2: 조심스러운 예측입니다만, 트위터 대주주로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등장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앞으로 한국 테크 기업을 포함 빅테크 기업이 다양한 커뮤니티 구입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