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알리바바는 벨기에에 AliExpress의 유럽 물류 거점(logistics center)을 구축하면서 유럽 공략을 본격화했습니다.

JD.com은 물류와 배송에 자동화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을 집중 투자하면서 중국에만 이른바 'smart warehouse'라 불리는 물류센터를 900개 이상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JD.com의 물류 및 배송 전문 자회사-JD Logistics-는 21년 4월 홍콩 증시에서 40억 달러 규모의 IPO를 단행했습니다. 자본 확보를 통해 관련 (기술) 투자를 꾸준히 증가시키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JD.com logistics unit gets go-ahead for up to US$4 billion Hong Kong IPO
The logistics unit of Chinese e-commerce giant

JD.com은 알리바바의 뒤를 쫓아 2021년 폴란드와 독일에 두 개의 물류센터 건설을 시작했습니다. 물류 거점을 만든다는 것은 JD.com이 유럽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유의미한 플레이어로 역할을 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21년은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의 유럽 진출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아래 두 개의 영상을 보시면 JD.com의 물류 기술이 어디까지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영상에는 1인당 한 시간 당 처리 물량 등 자동화 기반 효율성 지표들이 등장합니다.

두 번째 영상은 이른바 Last Mile에 대한 JD.com의 해결방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아파트가 주거형태의 다수를 차지하는 한국에선 상상할 수 없지만, 아래의 '움직이는 개인 택배함' 아이디어는 설득력이 높아 보입니다.

JD.com은 Exciting f(R)에 포함된 기업입니다.
Exciting f(R)을 소개합니다. 리테일 시장 질서재편의 주인공입니다.
리테일 대재앙(Retail Apocalypse)의 시작2017년 4월 The Atlantic의 데릭 톰슨(Derek Thomson)은 리테일 산업이 붕괴(Meltdown)되기 시작했다고 보도를했습니다. 쇼핑몰이 문을 닫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Credit Suisse의 분석[https://www.usatoday.com/story/money/2017/06/12/childrens-apparel-chain-gymboree-files-chapter-11-bankruptcy/102772792/]에 따르면, 2017년 아직 문을 닫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