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줄 요약

  • 비트코인의 가치는 그 가치를 믿는 사람에 크게 의존합니다.
  • 비트코인은 빅테크 기업 주식과 유사한 자산입니다.
  • 비트코인 관련 기술 붐이 일어날 때 비트코인 봄은 올 수 있습니다. DAO와 NFT 기반 웹3 커머스에 관심을 가져야할 이유입니다.

루나 사태의 후폭풍이 거셉니다. 미국과 유럽연합 등 각국 정부의 규제 움직임이 가속도를 얻고 있습니다. 규제 목표는 크립토 섹터에서 피해자 구제 또는 투자자 보호에 있습니다. 유럽의회를 통과한 유럽연합의 코인 규제 법안(MICA: Markets in Crypto-Assets)에 따르면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은 전면 금지됩니다. 크립토 겨울 논쟁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NFT/Web3를 둘러싼 크립토 문화전쟁 과정에서 발생한 루나 사태는 크립토를 전면 부정하는 흐름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은 명확합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한 크립토는 금융자산인가 아닌가입니다. 연결되는 질문은 크림토가 금융자산이라면 어떤 특정을 갖는 자산인가입니다. 마지막으로는 크립토 겨울을 피할 수 없다면 다시 봄이 올 수 있는 시장 조건은 무엇인가입니다. 마지막 질문을 투자자 관점으로 재해석하면 지금은 비트코인 또는 알트코인을 줍줍해야 하는 시기인가 아니면 당분간 거리를 두고 관망해야하는 시간인가입니다. 이 글은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는 노력의 하나입니다.

가상자산 시장 전체가 아닌 그 대표주자인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겠습니다. 이번 글에서 많은 경우 비트코인를 크립토 전체의 또 다른 표현으로 간주해도 좋습니다.

자산의 가치를 믿는 사람이 중요

먼저 자산시장에 대한 저의 기본 입장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자산시장의 주요 변수 중 하나는 해당 자산의 가치를 믿는 사람의 규모와 그 믿음의 크기 변화입니다. 대표적으로 믿음 또는 신뢰에 바탕을 둔 자산은 금입니다.
금(Gold)의 시가총액(market cap)은 약 12조 달러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전체 크립토 시가총액은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2021년 11월 3조 달러에 도달한 이후 루나 사태와 함께 폭락하며 1조 2천억 달러로 축소되었습니다. 금의 시가총액은 전체 크립토 시가총액 대비 작게는 4배, 많게는 10배 큽니다.

금이라는 반짝거리는 노란 금속은 귀금속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그 뛰어난 내구성으로 산업용으로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금의 활용성이 12조 달러의 시가총액을 정당화하지 않습니다. 금의 가치 대부분은 금이 가치있다고 믿는 사람에게서 나옵니다. 비트코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비트코인의 가치를 부정하는 사람의 수도 작지 않습니다. 비트코인은 유행이며 비트코인은 내재 가치를 가지고 있지 않다가 이들의 핵심 논리입니다. 워렌 버핏은 대표적인 비트코인 부정론자에 속합니다. 참고로 워렌 버핏은 금의 가치도 부정합니다. 가상자산 또는 금의 가치를 부정하는 사람이 다수 존재한다고 해도 그 반대 편에서 그 가치를 믿는 사람의 규모가 크다면 가상자산 시장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물론 비트코인의 가격이 0으로 수렴할 수도 있습니다. 중국 정부처럼 유럽연합, 미국 정부 등이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모두를 금지한다면 가상자산 시장은 붕괴하고 역사로만 남을 것입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에 대한 강력한 규제의 가능성은 높지만 전면 금지의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습니다.

Crypto is fully banned in China and 8 other countries
Nine countries have banned digital currencies outright in recent years, but dozens more have banned it implicitly.

각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규제하려는 목적 중에는 아래 논문이 밝히고 있는 것처럼 비트코인이 돈세탁, (불법)상속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Evading Capital Controls via Cryptocurrencies: Evidence from the Blockchain
How pervasive is the use of cryptocurrencies to evade capital controls? We develop a new method that exploits blockchain data to identify cross-border flows tha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불법 침공에 대한 각국 정부의 (금융)제재를 우회하기 위해 비트코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Russia Could Use Cryptocurrency to Blunt the Force of U.S. Sanctions
Russian companies have many cryptocurrency tools at their disposal to evade sanctions, including a so-called digital ruble and ransomware.

역설적으로 비트코인이 돈세탁과 경제 제재 우회에 이용되고 있다는 점은 비트코인이 가지고 있는 금융 가치를 의미합니다.

비트코인은 (전통) 화폐를 대체할 수 없고 대체할 필요도 없어

비트코인이 금융 가치를 가지며 계속해서 존재할 가능성은 매우 크지만 비트코인 극단적 옹호론자(maximalist)가 희망하듯 비트코인이 미래의 통화 화폐(fiat money)가 될 가능성은 0에 가깝습니다.

옹호론자의 주장처럼 비트코인이 (가까운) 미래의 화폐가 된다면 지금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것은 매우 유익한 일입니다. 만약 비트코인이 화폐가 될 경우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수요가 증가하면 비트코인의 가격은 함께 증가합니다. 지금 비트코인의 가격보다 훨씬 높은 수준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결정될 것입니다. 그 때까지 비트코인은 심각한 가격 변동성(volatility)을 해결해야 합니다. 이 배경에서 등장한 것이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그러나 스테이블 코인으로는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을 낮추긴 어려워 보입니다. 각국 중앙은행은 가격 변동성을 낮추기 위해 이자율, 채권, 화폐 발행 등 다양한 예방 수단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비트코인은 가격 변동성을 크게 낮출 강력한 통제 수단을 내재적으로 가질 수 없습니다. 예방 수단 문제를 제외하고도 현재 법정 통화를 비트코인으로 대체할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부에서는 엘살바도르 사례를 제시합니다. 엘살바도르는 2021년 비트코인에 법정 통화의 지위를 부여했습니다. 엘살바도르에서 비트코인으로 세금을 낼 수 있고 빚을 갚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엘살바도르 정부의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래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비트코인은 엘살바도르 경제에서 전혀 이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명백한 이유는 가격 변동성입니다.

Are Cryptocurrencies Currencies? Bitcoin as Legal Tender in El Salvador
Founded in 1920, the NBER is a private, non-profit, non-partisan organization dedicated to conducting economic research and to disseminating research findings among academics, public policy makers, and business professionals.

다수의 비트코인 극단 옹호론자는 스테이블 코인은 시작에 불과하며 점차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 문제는 해결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엘살바도르 사례가 보여주듯 가격 변동성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없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높다는 것은 (역으로) 그만큼 비트코인이 투자 자산(investment asset)으로 매력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비트코인을 투자 자산으로 생각하고 수시로 거래에 참여하는 사람은 비트코인이 미래 통화 화폐가 되는 것에 1도 관심이 없습니다.

비트코인은 빅테크 기업 주식과 같아

비트코인의 자산 가치는 금처럼 그 가치를 믿는 사람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앞서 말씀드렸습니다. 비트코인의 특징 중 흥미로운 점은 비트코인 가격과 미국 Nasdaq 지수의 상관관계입니다. 분석하는 시기에 따라 상관관계는 변화를 겪지만 최근 비트코인 가격과 Nasdaq 지수의 상관관계는 0.82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매우 높은 수치입니다. 앞으로 이렇게 높은 상관관계가 계속 유지될 수 있을지는 회의적입니다만 이러한 현상 때문에 비트코인을 빅테크 기업 주식처럼 여기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아래 글 참조). 저 또한 이 흐름에 동조하고 있습니다.

Bitcoin Is Trading Like a Tech Stock, Not ‘Digital Gold’ - Decrypt
The 30-day correlation between Bitcoin and the Nasdaq is at its highest level since July 2020. BTC’s correlation with gold is at a low point.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상승한 시기는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2017년 하반기와 2020년 하반기(부터)입니다.

2017년 후분기는 ICO가 큰 붐을 일으켰던 시기이며 2020년 하반기는 DeFi 열풍의 시작점입니다. 기술로서 비트코인에 기반한 풍부한 응용이 발생하는 시기 비트코인의 가격은 급등합니다. 크립토 응용 사례가 급증하면 이의 대표 주자 비트코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그 결과 비트코인의 가격이 증가합니다.

비트코인을 빅테크 기업 주가처럼 바라본다면 앞으로 비트코인 봄(spring)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바로 크립토 기술 붐이 다시 일어날 때입니다. 그 예상 기술은 DAONFT 기반 웹3 커머스입니다. 웹3 커머스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웹3 일반은 아래 글을 참조하십시요.

웹3 및 NFT 낙관론: 코드에 역사를 담다
22년 5월 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NFT Sales Are Flatlining(NFT 거래 급감이후 바닥 지속)”이라는 제목으로 최근 NFT 거래 급감 현상을 분석했습니다. 이 글의 부제는 거래량 급감은 NFT 종말의 시작을 의미하는가(Is this the beginning of the end of NFTs)?입니다. WSJ답게 이 부제를 뒷받침할 근거도 풍부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DAO와 NFT 기반 웹3 커머스 붐이 언제 발생할지 예측하는 일은 제 능력을 벗어납니다. 비트코인을 기술 그리고 기술 주식으로 바라보는 제 시각이 틀릴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 관련 흐름을 꼼꼼하게 분석해서 이 공간에 공유하겠습니다.

글보다 영상 또는 음성이 편하신 분에게는 아래 글을 추천합니다. 이 글에 담지 않은 이야기도 아래 영상에는 있답니다.